티스토리 뷰
목차
부정맥
심장은 우리 몸의 세포에 혈액을 보내는 펌프작용을 합니다. 심장에는 2개의 심실 펌프와 2개의 심방 펌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펌프 작용에 의해 오른쪽 심실은 폐로 혈액을 보내고, 왼쪽 심실은 폐를 제외한 중요 장기에 혈액을 보내게 됩니다. 심실은 많은 근육세포를 가지고 있어서 그 근육세포들이 조화롭게 수축함으로 인해 펌프작용을 하게되는 것입니다. 왼쪽 심실의 펌프작용으로 인해 우리가 알고 있는 혈압 값이 정해지게 됩니다.
심장에는 전기를 만들고 그 전기가 전달되어 심실의 근육세포들이 순서에 따라 수축, 이완하도록 제어하는 전기회로가 있습니다. 그 전기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심장은 분당 60-100회의 속도로 규칙적으로 펌프작용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심장의 근육세포들 중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전기를 만들어 내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심실에 있는 많은 수의 근육세포들 중 일부가 비정상적인 전기의 흐름을 만들어내면, 전기회로가 만들어 내는 정상적인 전기의 흐름이 방해를 받게 됩니다. 이때 맥박은 분당 60회 미만으로 느려지거나, 100회 이상으로 빨라지거나, 혹은 불규칙하게 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맥박을 빠르거나, 느리거나, 불규칙하게 만드는 비정상적인 전기의 흐름에 의한 심장 박동을 부정맥이라고 합니다.
심실 조기수축
심실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부정맥은 심실조기박동입니다. 대부분 심실조기수축은 1회 혹은 2회정도 연속하여 나타나는데, 정상적인 전기의 흐름보다 빨리 발생하므로 조기박동이라고 부릅니다.
예민한 분들은 심실조기박동이 출현할 때 맥박이 정상보다 빠르게, 느리게, 또는 불규칙하게 뛰는 것을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흔히 가슴이 덜컹 내려앉거나 울렁거린다고 표현합니다. 그러나 예민하지 않은 분들은 심실조기박동이 출현해도 특별한 이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건강검진 중 우연히 발견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심장질환이 없는 경우는 심실조기박동이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감각이 예민해 맥박이 정상보다 빠르게, 느리게, 또는 불규칙하게 뛰는 것을 느끼는 경우는 증상 조절을 위해 약물을 처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는 심장의 스트레스로 인해 심실조기박동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심실조기박동이 자주 나타나는 것은 심장 기능이 잘 조절되지 않고 있다는 위험 신호일 수 있으므로 약물치료나 시술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맥박이 불규칙하거나 심실조기박동을 진단받았다면 심장질환이 있는지 정밀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고, 심장질환을 진단받은 환자라면 심실조기박동의 증상이 없거나 경미하더라도 상담과 진찰을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심장질환
심장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이든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이든 다양한 심리적 또는 신체적 스트레스가 심실조기박동의 출현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음주, 흡연,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 섭취 등도 심실조기박동의 출현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많은 환자들이 심리적 또는 신체적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상황에서 음주나 흡연을 하다 병원을 찾고 있습니다. 심실조기박동을 진단받았다면 자신의 생활을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심실조기박동은 스트레스 관리와 한 두 가지 약물로 충분히 조절이 가능합니다. 심실조기박동의 증상이 잘 조절되지 않거나 심실조기박동이 심장의 펌프기능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가끔 시술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부 환자에서는 심실조기박동이 3개 이상 연속적으로 출현할 수 있는데 이럴 때는 심실조기박동 대신 심실빈맥이라는 이름을 붙이게 됩니다. 심실빈맥이 출현하면 맥박이 정상보다 빨리 뛰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환자는 두근거림을 느끼게 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심실빈맥은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발생하는데 기절을 하거나 심장마비로 진행할 수도 있으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약물치료를 해도 심실빈맥이 자주 재발하거나 심실빈맥이 심장마비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고주파전극도자절제술과 같은 시술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실조기박동이 자주 출현하는 환자에서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심실빈맥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심실조기박동이 자주 나타나는 환자의 경우 가급적 빨리 정밀검사와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