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 데이터 기반 개인 건강관리 시스템은 개인 건강 관련 모든 정보와, 이를 바탕으로 제공되는 개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 및 플랫폼으로 정의됩니다. 여기에서 개인 건강정보란 병원에서 생산되는 진료기록, 검진기록, 복약정보, 유전체 정보, 개인의 건강기록 등 일상생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의미합니다. 건강관리 시스템에 활용되는 빅데이터는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개인의 유전자 염기서열 정보(1인당 약 30억 개)를 수집한 개인유전정보 데이터 IoT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 수집되는 개인 건강정보 데이터 환자의 진료정보를 전산화하여 이력 관리되는 전자의무기록 데이터 진료, 의료급여 내역, 건강검진결과 등의 국민건강 관련 데이터 개인 건강관리 서비스에는 고혈압과..

정의 디지털 치료기기는 의학적 장애나 질병을 예방, 치료, 관리하기 위해 환자에게 근거기반으로 치료적 개입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로 정의됩니다. 국제 비영리 단체인 디지털 치료제 협회(DTA, Digital Therapeutics Alliance) 등 국제적으로는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디지털 치료제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의료기기를 강조하여 디지털 치료제 대신 디지털 치료기기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디지털 치료기기는 소프트웨어이지만 환자의 질병을 예방하고 관리하며 치료한다는 목적으로 치료제와 유사한 의료기기에 해당된다고 보는 것입니다. 디지털 치료기기는 의료기기로서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둔 치..

정의 고령친화 재활시스템은 신체의 노화와 선천적 질병, 사고 등으로 저하된 인체 근골격 기능의 회복 또는 보조를 위한 보조기기 뿐만 아니라 신체의 이동 및 일상생활의 신체활동을 원활하게 지원하는 모든 기기로 정의됩니다. 이 시스템은 이동성 장비, 신체 보조 장치, 운동 장비 등 고령자 및 재활이 필요한 사람들의 생활을 돕고 지원하도록 설계된 생활 보조 장비를 포함합니다. 고령친화 재활시스템은 신체장애, 부상 및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나 노인, 장애인 등을 돕기 위해 사용됩니다. 그리고 일상생활 지원 장비, 이동 장비, 운동 장비, 신체를 지지하는 디바이스 등 다양한 유형의 장비가 있습니다. 디지털헬스케어와 의료기기 분야에서 고령친화 및 재활시스템의 전략품목은 고령자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일상생활 보조..

인공지능 의료기기의 정의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인공지능 의료기기를 프로그래밍 된 모델 없이 데이터 분석을 통해 기계학습 훈련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기계학습 모델을 개발하는 기계학습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로 정의합니다. 인공지능 의료기기는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의료 데이터를 분석하여 질병을 진단, 예측하거나 치료법을 제시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기계학습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는 기계학습 방식으로 의료용 데이터를 학습하고 특정 패턴을 인식하여 질병을 진단, 예측하거나 환자에게 적합한 맞춤치료법 질병을 진단하고 예측하는 임상의사결정지원(Clinical Decision Supporting, CDS) 소프트웨어나 의료영상 진단보조(Computer-AIded Detection/Diagnosis, CAD) 소프트웨어..

홈 Iot 반려동물 케어장치의 개요 홈 IoT 반려동물 케어장치는 IoT 기술이 접목되어 반려동물의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시스템을 말합니다. 그 시스템에는 반려동물 훈련, 반려동물 건강 측정, 운동량 기록, 식사량 기록, 자동 급수, 배변 처리, 전동식 장난감, 감정 번역, 질병 관리 등의 다양한 펫테크 케어 서비스가 포함됩니다. 이제 홈 IoT 반려동물 케어장치는 일상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넘어서 놀이와 편의 기능까지 확장되어 시장성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전 산업 분야에서 IoT 및 5G 통신 기반의 구축으로 홈 IoT 반려동물 케어장치의 서비스 확산도 급속도로 진전될 것으로 보입니다. ∎IoT와 5G기술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